그동안 아이 예방주사에, 매년 독감 예방접종도 했었는데 아직도 두려운 것이 주사예요.
매번 아이들 맞출 때마다 제가 더 많이 긴장하는 듯해요. 해도해도 어렵네요 이건.
어떨 땐 씩씩하게 잘 맞고 오기도 하고, 어떤 땐 아프다고 겁먹고 문 앞에서부터 이미 난리 난리......
이제 좀 컸나 싶다가도 이럴 때 보면 또 한없이 아기가 되네요;;
그래도 어쩌겠어요.
요즘같은 코시국에 더더욱 미리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을 듯하기도 하고,
내년에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이이기도 하니, 이미 면역체계를 더 단단히 해두는 것이 필요하겠다 싶어서
이번 주에 아이들 독감 예방접종을 하러 가기로 했답니다.
독감주사는 언제 맞아도 왜 이리 두려운 존재인지;;
해서, 미리 아이 독감 예방접종 시 주의 사항을 미리 알고 가면 좋겠다 싶어 정리해봤어요!
만 13세 이하 어린이면
4가 독감주사가 무료!
몇 년 전부터 독감주사 무료 대상이 확대되어 생후 6개월 이후 ~ 만 13세 이하 어린이들은 무료로 독감 주사를 맞을 수 있게 되었어요. 생애 첫 독감 접종을 하는 아기는 한 달 간격으로 1차, 2차 2번 맞고, 그 이후부턴 매년 1번만 맞으면 된답니다~
별도로 임산부나,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들도 독감주사가 무료이니 참고하세요~
예전에는 3가 독감주사만 무료였는데, 이젠 4가가 무료로 지원이 돼요! 이 부분은 정말 정말 환영하는 정책이에요!
3가와 4가의 차이는 B형 바이러스를 1종류 예방하는지, 2종류 예방하는지의 여부예요~
이왕이면 더 많이 예방하는 게 좋긴 하겠죠?
독감주사 효과 높이려면?
1. 좋은 컨디션 상태 유지하기!
독감 예정접종 2-3일 전부터 충분히 자고 휴식을 취하며 면역시스템이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수면 시간이 4시간 정도밖에 안되면, 면역세포의 능력이 30% 정도 감소한다는 실제 연구 결과도 있으니 우리 모두 충분히 잠을 자도록 해요!
2. 독감 접종은 10월 중순~11월 초가 가장 좋아요!
독감 주사를 한번 맞으면 6개월 정도의 지속 효과가 있다고 해요. 보통 독감은 겨울 내내 기승을 부리긴 하지만, 제가 갔던 소아과 의사 선생님 말씀으로는 11월 말 정도에 크게 한번, 4월 정도에 또 크게 한번 유행하기 때문에, 독감주사는 너무 지나치게 일찍 맞는 것도, 너무 늦게 맞는 것도 안 좋다고 하세요.
보통 독감주사를 맞으면 2주 뒤 정도부터 효과가 발생하고, 4월 말까지 효과가 유지되게 하기 위해서는 10월 중순~말 정도에 맞으면 안정적으로 효과를 지속해서 볼 수 있다고 이 시기를 추천하시더라고요.
뭐, 뭐든 항상 변수는 있지 마련이지만 대게 통상적으로 그렇다고 말씀 주셨어요.
3. 평소에 운동을 해주세요!
운동을 하면 면역력이 강화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많다고 해요. 운동을 하면 항체들을 감염 가능성이 높은 부위로 재배치시켜서 면역력을 강화시켜주는 것이지요.
독감 예방주사 접종 시 주의사항
1. 열이 있거나, 컨디션이 좋지 않으면 예방접종은 다음으로 미뤄주세요~
병원에서 열이 있으면 접종해주지도 않겠지만, 혹시라도 잠시 떨어졌다고 해서 맞는 일이 없도록 스스로 조심 또 조심!
2. 독감주사 예방 접종 후, 열이 난다면? 참지 마시고 해열제를 복용하세요!
독감 접종 부위나 다른 약한 곳에 열감이 있을 땐, 냉찜질을 해주시는 것이 도움돼요.
열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면 해열제를 교차 복용해서 먹이셔도 돼요.
예방접종으로 인한 열은 보통 1-2일 내에 떨어진다고 하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혹시라고 2-3일 후에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바로 병원으로 가세요!)
3. 접종한 날은 세균 감염을 방지하고자 목욕은 하지 말아 주세요.
사우나 같은 너무 뜨거운 곳에 있는 것도 당연히 안돼요! 너무 찝찝할 땐, 가벼운 샤워 정도만 해주시는 걸로!
4. 접종 부위를 긁거나, 만지면 세균 감염 우려가 있으니 조심해주세요!
5.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분들은 반드시 접종 전에 의사분과 상담 후에 맞으시는 것이 좋아요.
독감주사에는 계란 성분이 들어가 있다고 하니 꼭 참고하세요!
6. 접종 전 후로 음주는 안돼요~~
음주하면, 독감 예방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거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
7. 접종 후, 부작용이 지속되면 병원에서 진료받으세요!
미열 (또는 고열), 두통, 근육통, 주사부위 통증, 부종, 알레르기, 두드러기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요.
대게 1-2일이면 없어지지만, 그렇지 않다면 바로 병원으로 가서 진료받으시는 것이 좋아요.
저도 위의 내용들 기억하고, 이번 주말 아이들 데리고 독감 예방 주사 맞으러 갈 예정입니다.
우리 모두 건강한 겨울 보내자고요!!
'똑새맘이 알려주는 육아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대상 및 비용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1.11.01 |
---|---|
영유아 건강검진 시기 및 문진표 작성 예약 방법 모든 것! (0) | 2021.11.01 |
2022년 출산 혜택의 모든 것! (1) | 2021.10.28 |
아기 코막힘 잠못잠 이렇게 해봐요! (0) | 2021.10.28 |
아기 이나는 시기 및 치아 관리 방법 (0) | 2021.10.22 |